고사성어 100
고사성어 100
각주구검(刻舟求劍)배위에서 칼을 떨어뜨린 자리에 언표하고 정박 후 찾음, 시세에 어두움
건곤일척(乾坤一擲)천하를 얻든지 잃든지 모두를 운에 맡기고 용감히 행동함
격물치지(格物致知)앎을 극에 다다르게 하기 위해서 객관적 사물의 본질을 잘 이해해야 함
관포지교(管鮑之交)관중과 포숙과의 의리가 몹시 좋다는 뜻, 친밀한 교재를 일컬음
괄목상대(刮目相對)눈을 씻고 본다는 뜻으로 남의 업적이 크게 진척한 것을 말함
교언영색(巧言令色)교묘한 말과 얼굴로 다만 야유할 뿐이요 내실이 없음
구우일모(九牛一毛)아홉마리의 소털 가운데 불과 한 개라는 뜻. 많은 양속의 일부분
권토중래(捲土重來)한 번 실패한 자가 그 실패에 굴하지 않고 다시 일어남
군맹무상(群盲撫象)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과 좁은 소견으로 그릇 판단함
금성탕지(金城湯池)견고한 성을 말함, 금과 같은 성이요, 열탕 같은 못이라는 뜻
남가일몽(南柯一夢)세상일의 허무함을 말함
누란지위(累卵之危)쌓아올린 새 알처럼 몹시 아슬아슬한 위기
다다익선(多多益善)많으면 많을수록 좋음
대기만성(大器晩成)마지막에 큰 인물로 성공하는 사람, 불우한 여건의 사람을 격려함
동병상련(同病相憐)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동정하고 돕고 위로한다는 비유
막역지우(莫逆之友)몹시 친밀한 친구를 말함
맥수지탄(麥秀之嘆)기자가 은니라기 망한 후 폐허에 보리만 자람을 보고 고국멸망을 한탄
맹모삼천(孟母三遷)자식의 교육에는 주위의 환경이 중요함을 뜻함
묘향현령(猫 懸鈴)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실행할 수 없는 헛된 의논.
문경지교(刎頸之交)생사를 함께 할 만큼 절친한 우정 또는 그 벗을 이름.
문일지십(聞一知十)하나 듣고 열을 안다는 뜻으로 총명함을 가리킴.
발본색원(拔本塞源)근본 원인을 제거하고 바르게 처치하는 것의 비유.
방약무인(傍若無人)제 멋대로 말하고 논쟁하는 것.
배수지진(背水之陣)적은 앞에서 공격해오고 뒤는 강물이 흐르니 죽을 각오로 적을 격파하게 됨
백년지객(百年之客)한 평생을 어려운 손님으로 맞아야 하는 사위를 말함.
백년하청(百年河淸)황하의 물은 언제까지 기다려도 맑지 않는 다는 비유.
분서갱유(焚書坑儒)진시황이 사서육경을 불태우고 유학자들을 생매장한 것을 말함.
붕정만리(鵬程萬里)앞길이 원대함, 긴 여정을 두고 사용함.
빈자일등(貧者一燈)가난한 사람의 진심어린 동정이 부자의 동정보다 공덕이 큼.
사면초가(四面楚歌)주위가 모두 적이고 자기를 돕는 사람은 하나도 없음을 말함.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때가 지난 뒤에 소용없는 애를 쓰는 어리석음을 말함.
살신성인(殺身成仁)제 몸을 휘생하고 시람 본분의 극치를 성취함.
상전벽해(桑田碧海)뽕나무 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됨, 세상사의 덧없음을 말함.
새옹지마(塞翁之馬)인간사의 화복은 뜬구름 같은 것이니 연연해 할 필요가 없음.
수구초심(首丘初心)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로 둠. 고향을 그리워함을 말함.
수어지교(水魚之交)삼국지의 제갈량전에 나온 말로,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사이,
수주대토(守株待兎)송나라의 농부가 토끼를 기다림, 구습을 고수하여 변통할 줄 모름.
순망치한(脣亡齒寒)이가 없으면 잇몸이 시림, 친한사이의 하나가 망하면 나머지도 어려움.
식자우환(識字憂患)글자를 아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된다는 것.
암중모색(暗中摸索)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확실하지 않은 것을 상상으로 맞춤.
양두구육(羊頭狗肉)겉으로는 최고의 간판을 내걸고 내용은 형편없음.
양상군자(梁上君子)도둑을 말함.
양약고구(良藥苦口)좋은 약은 입에 씀, 충언은 귀에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로움.
양호유환(養虎遺患)범을 길러 환란을 당한다는 말, 스스로 재난을 초래함을 뜻함.
어부지리(漁父之利)당사자들이 이해관계로 다투고 있을 때 제 3자가 가로챔.
연목구어(緣木求魚)어떤 일이건 사리에 의하지 않으면 헛수고만 하고 공이 없음.
영설지재(詠雪至才)재주가 있는 여자
오리무중(五里霧中)안개속의 방향을 알 수 없듯 일의 실마리가 잡히지 않는 상태.
오비이락(烏飛梨落)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우연의 일치로 혐의를 받음.
오월동주(吳越同舟)손자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 적과 아군이 우연히 배에서 만남.
오합지중(烏合之衆)규율없는 자의 집단.
옥석혼효(玉石混淆)옥과 돌이 뒤섰여 있음. 선악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음.
옥석구분(玉石俱焚)옥과 돌이 같이 함. 선과 악이 함께 멸망함을 뜻함.
온고지신(溫故知新)옛것을 탐구하여 새로운 진리를 터득함을 말함.
와각지쟁(蝸角之爭)작은 나라끼리의 싸움.
와신상담(臥薪嘗膽)복수를 위해 참고 기다림.
요원지화(爎原之火)악이 퍼지기 쉬움, 악이 성하여 가까이 할 수 없음
용두사미(龍頭蛇尾)처음엔 번성하나 나중엔 쇠미함.
월하빙인(月下氷人)결혼 중매인
이심전심(以心傳心)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달됨을 뜻함.
일각천금(一刻千金)한 시간이 천금에 버금갈 정도로 지극히 즐거운 때라는 뜻.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일망타진(一網打盡) 그물을 가지고 떼 고기를 잡듯 어떤 것을 한꺼번에 모두 잡음
일엽지추(一葉知秋)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막힘, 늙어서 쇠약해짐.
일모도원(日暮途遠) 나뭇잎 하나가 떨어짐에서 가을을 봄. 작은 일로 큰일을 추측함.
일의대수(一依帶水) 한 줄기 띠와 같이 좁은 강물이나 바닷물.
일이관지(一以貫之) 한 이치로써 모든 일을 꿰뚫음.
일패도지(一敗塗地)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됨.
자포자기(自暴自棄) 실망, 타락 때문에 자기의 형편을 돌보지 않음.
전전긍긍(戰戰兢兢) 매우 두려워 조심함
정중지와(井中之蛙) 우물 안 개구리.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이름.
조강지처(糟糠之妻) 구차하고 천할 때부터 고생을 함께 해 온 아내.
조삼모사(朝三暮四) 거짓말로 사람을 우롱하는 것. 원숭이에게 밤을 아침에 세개,저녁에 네 개씩 준다고 하니 화를 내서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준다고하니 좋아함.
주지육림(酒池肉林) 술로 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룸. 호사스러움이 극에 달함.
죽마고우(竹馬故友) 한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벗.
중구난방(衆口難防) 뭇 사람의 일을 이루 막기가 어려움.
지록위마(指鹿爲馬) 남을 속이는 것을 말함.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이 맑고 살찌듯이 가을이 좋은 계절임을 일컫는 말.
천려일실(千慮一失) 아무리 지혜가 있는 사람이라도 한 번 정도는 실수가 있음.
천의무봉(天衣無縫) 하늘의 선녀 옷에는 바느질한 흔적이 없음, 문장이 자연스러움..
천재일우(千載一遇) 천 년에 한 번 만날 정도로 지극히 드문 기회.
철중쟁쟁(鐵中錚錚) 많은 쇠 중 맑은 소리가 나는 쇠라는 뜻. 가장 뛰어난 사람.
청운지지(靑雲之志) 한높은 지위에 올라가고자 함.(=능운지지)
청출어람(靑出於藍)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을 일컫는 말.
초록동색(草綠同色) 동류끼리 어울린다는 뜻.
초미지급(焦眉之急) 버려둘 수 없는 일의 비유.
촌철살인(寸鐵殺人) 어떤 일의 급소를 찔러 사람을 감동시킴.
타산지석(他山之石) 남의 행동을 참고해서 자기 계발이나 반성에 유용하게 씀.
토사구팽 쓸모있을 때는 부리다가 소용이 없으면 버림.
파과지년(破瓜之年) 16세를 말함.
파죽지세(破竹之勢) 세력이 맹렬함을 말함.
학여불급(學如不及) 학문을 할 때 자만심을 경계하며 겸손히 공부하라는 뜻.
함흥차사(咸興差使) 가서 깜깜무소식이거나 답이 늦음을 비유.
해로동혈(偕老同穴) 저 세상까지 함께하자는 기약을 맺은 부부의 비유.
형설지공(螢雪之功) 고생을 하며 공부해서 얻은 보람.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법의 힘을 빌어 위협하듯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
호연지기(浩然之氣)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한 넓고도 큰 기. 공명정대한 도덕적 용기.
홍익인간(弘益人間)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함.
화룡점정(畵龍點睛) 사물의 요점을 말함.
환골탈태(換骨奪胎) 한사물의 근본이 되는 것. 시나 문장을 지을 때 옛사람의 작품의 뜻을 모방해서 어구를 바꾸어 착상을
새롭게 한 듯이 보이려고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