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논술

예수님의 마음을 품자

아침햇살로만 2010. 12. 18. 14:46

성경논술

 

예수님의 마음을 품자 <빌립보서 2 : 1 - 8>

 

 

<오늘의 본문> 빌립보서 2 : 1 - 8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무슨 권면이나 사랑의 무슨 위로나 성령의 무슨 교제나 긍휼이나 자비가 있거든

마음을 같이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각각 자기 일을 돌볼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나의 기쁨을 충만하게 하라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어휘 정복하기>

 

※ 다음 어휘를 넣어 짧은 글짓기를 하여 봅시다.

 

① 권면(勸勉) : 알아듣도록 타일러 힘쓰게 함.

 

------------------------------------------------------------------

 

② 긍휼(矜恤) : 불쌍히 여겨 돌보아 줌.

 

------------------------------------------------------------------

 

③ 자비(慈悲) : 남을 깊이 사랑하고 가엽게 여김. 또는 그렇게 여겨 베푸는 혜택.

 

------------------------------------------------------------------

 

④ 허영(虛榮) : 자기 분수에 넘치고 실속이 없이 겉모습만 그럴듯함. 또는 필요 이상의 겉치레.

 

-----------------------------------------------------------------

 

⑤ 충만(充滿) : 가득하게 참.

 

------------------------------------------------------------------

 

 

<말씀 콕콕 짚어가기>

 

1. 남을 권면하기 위해 본문에서는 누구 안에서 하라고 합니까?

 

------------------------------------------------------------------

 

-----------------------------------------------------------------

 

2. 또 위로를 할 때도 어떠한 마음으로 하라고 합니까?

 

------------------------------------------------------------------

 

------------------------------------------------------------------

 

3.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한 마음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

 

4. 성경말씀대로 서로 하나가 되자고 결심한 친구들이 각기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다음 중에서 예수님의 마음과 맞지 않는 의견을 찾아보세요. ( )

 

은영 : 하나 되는 방법은 그리스도께서 나에게 해주신 대로 남에게 하는 것입니다.

승희 : 하나 되기 위해서는 같은 사랑을 가져야 합니다.

범준 : 하나 되기 위해서는 예수님의 마음을 품어야 합니다.

민정 : 하나 되기 위해서는 나를 남보다 낫게 여겨야 합니다.

지훈 : 하나 되기 위해서는 남의 일에 관심을 갖고 돌아보아야 합니다.

 

5. 참된 겸손은 그리스도의 본을 따르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는 어떤 본을 보이셨나요?

 

------------------------------------------------------------------

 

------------------------------------------------------------------

 

6. ‘각각 자기 일을 돌볼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나의 기쁨을 충만하게 하라’를 우리 생활 속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

 

------------------------------------------------------------------

 

<소중한 내 의견 말하기>

 

1. 혹시 남의 잘못을 지적하거나 남의 아픔을 위로한 적이 있었나요? 그때 나는 어떤 태도로 임했나요? 서로 이야기해봅시다.

 

------------------------------------------------------------------

 

------------------------------------------------------------------

 

2. 지금껏 실수를 하거나 잘못을 해서 문제가 된 적이 있었나요? 급히 지나가다가 꽃병을 건드려 깨뜨리거나, 잘못인 줄 알면서도 엄마 지갑에서 용돈을 슬쩍 꺼내간 경우가 있었나요? 그때 어른들은 내게 어떻게 대했는지, 그 때의 기분까지 떠올려 봅시다.

 

-------------------------------------------------------------------

 

-------------------------------------------------------------------

 

-------------------------------------------------------------------

 

3. 친구들과 지내면서 그가 나보다 낫다고 여긴 적이 있을 거예요. 혹시 생각만 그렇게 하고 표현은 하지 못했다면 그 중 한 명에게 내 마음을 담은 쪽지를 써보세요.

 

--------------------------------------------------------------------

 

--------------------------------------------------------------------

 

--------------------------------------------------------------------

 

4. 자기를 낮춘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겠지요. 그러나 예수님의 자녀인 나는 세상을 살아갈 때 어떤 자세로 살아가야 할까요? 결심을 써 봅시다.

 

--------------------------------------------------------------------

 

--------------------------------------------------------------------

 

--------------------------------------------------------------------

 

--------------------------------------------------------------------

 

<연관도서 감상>

 

어느 날 슬픔을 발견한 꼬마 이야기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작가 소개>

 

마우루지 바스콘셀로스는 브라질 최고로 손꼽히는 작가로 1920년 하우지자네이루의 외곽에 위치한 방구(Bangu)시에서 태어났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낸 그는 권투 선수, 바나나 농장 인부, 야간업소 웨이터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지며 작가가 되기 위한 밑거름을 쌓았다. 1942년 작가로서 첫발을 내디뎠고 1962년에 펴낸 「장미, 나의 쪽배」는 ‘브라질의 대국민 소설’이라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그에게 가장 큰 성공을 가져다 준 작품은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이다. 이 책을 완성시키기 위해 20년 이상을 구상했고 1968년 발표 당시에에는 브라질 전역에서 50만부가 팔렸으며 초등학교 교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는 작품을 쓰기에 앞서 미리 여행과 탐험을 하며 오랫동안 구상을 거치는 철저한 체험 작가로 알려져 있다. 미국과 유럽, 공산권국가에도 번역 소개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는 파리 소르본 대학 포루투칼어 과정 교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책과의 대화>

 

1. 제제의 성격과 특징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

 

------------------------------------------------------------------

 

------------------------------------------------------------------

 

2. 좋은 친구가 많은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친구란 그만큼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이지요. 이 책의 주인공 제제에게도 진정한 우정을 나눌 수 있는 친구가 있습니다. 어떤 친구들인가요?

 

-----------------------------------------------------------------

 

-----------------------------------------------------------------

 

3. 아버지의 심한 매질에 상처받은 제제는 그 후 아버지를 마음에서 죽입니다. 책 내용으로 볼 때 죽임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

 

3-1. 제제에게 심하게 대한 아버지의 마음은 어떤 것일까요? 아버지는 제제가 무조건 밉기만 했을까요?

 

------------------------------------------------------------------

 

4. 뽀르뚜까 아저씨는 제제를 많이 이해하고 사랑해 줍니다. 집에서는 말썽꾸러기로 매를 맞으며 살지만 뽀르뚜까 아저씨한테는 왕자처럼 대우받으며 행복해합니다. 이 부분을 읽으며 어떤 마음이 들었나요?

 

------------------------------------------------------------------

 

------------------------------------------------------------------

 

5. 뽀르뚜까 아저씨와의 이별을 통해 제제가 깨달은 것은 무엇인가요?

 

-----------------------------------------------------------------

 

-----------------------------------------------------------------

 

6. 친구라는 단어는 언제나 정겹게 다가옵니다. 나에게 진정한 친구란 누구일까요?

 

------------------------------------------------------------------

 

------------------------------------------------------------------

 

7. 밍기뉴가 하얀 꽃을 피우는 것의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

 

------------------------------------------------------------------

 

8. 제제는 아프고 난 후 꿈과 상상의 세계에서 현실과 고통의 세계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 말은 바로 철이 든다는 말과 같겠지요. ‘철이 든다’가 무슨 뜻인가요?

 

-----------------------------------------------------------------

 

-----------------------------------------------------------------

 

-----------------------------------------------------------------

<연결해 글쓰기>

 

흔히 사람을 두고 사회적 동물이라고 합니다. 사람이 혼자 살아가는 게 아닌 협력하여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나 혼자 살아가는 데는 때로 법칙도, 규칙도, 질서도, 양심도 필요치 않습니다.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아무데서나 누워 자고, 배가 고프면 뭐든 가져다 먹고 치우지 않아도 됩니다. 학교에 가지 않아도 뭐라고 잔소리할 사람도 없고 하루 종일 컴퓨터 게임만을 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에게 나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닌, 합력하여 선을 이루어야 할 세상을 창조하셔서 선물로 주셨고 또 그렇게 살기를 원하십니다. 내가 지금껏 살아올 수 있었던 것도 나 스스로의 힘만으로는 어림없는 일이었습니다. 친구 되신 예수님께서 항상 곁에 계시며 내가 기쁠 때 함께 기뻐하셨고 내가 슬퍼 울 때 눈물을 닦아주셨다는 것을 알고 계시는지요?

이제 내가 그 사랑을 실천할 때입니다. 주변을 돌아보아 다른 사람의 처지와 형편을 살펴야 합니다. 제제와 같이 힘들고 지쳐 있는 이웃이 있다면 권면하고 위로를 베풀어야 합니다.

이때 결코 내가 너보다 이만큼이 나으니, 너는 나에게 해 주는 것이 뭐가 있니, 하는 식의 다툼과 허영의 마음으로 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원치 않으십니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신 예수님의 겸손과 사랑으로 실천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마음을 내 마음 중심에 새기고 꼭 붙드세요.